논문투고규정
학술지/투고
논문투고규정
논문지 투고 규정

1. 논문은 미디어아트 작품 및 그 응용기술분야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학술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내용이거나 독창성이 인정되는 것이어야 한다.

2. 논문 투고자 및 공동저자는 반드시 본회 회원이어야 하며, 당해 연도 연회비와 심사, 게재료를 모두 납부하여야 게재할 수 있다.

3. 논문지 편집위원회는 저자에게 투고 논문의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 수정 요구 후 1개월이 지나도록 저자로부터 회신이 없으면 게재불가로 처리한다.

4. 원고는 본 논문지에 투고하기 전에 공개 출판물에 발표하지 않았던 것을 원칙으로 하며, 게재 논문의 내용에 대한 최종 책임은 저자가 진다.

5. 논문 접수는 수시로 하며, 접수 일은 논문이 본 협회에 도착한 날로 한다.

6. 심사용 논문은 협회에서 규정하는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 및 버전을 사용하고, 편집용지는 폭(190.0mm), 길이(260.0mm)로, 여백은 위(17.5)/머리말(10)/ 아래(17.5)/ 꼬리말(0)/왼쪽(20)/ 오른쪽(20)으로 각각 설정한다.

7. 투고논문 1쪽에는 제공되는 양식에 맞추어 논문제목(영문포함), 저자명(영문 포함), 교신저자 정보, 소속기관, 과제 지원문구(사사), E-mail 주소만을 기입한다. 필요시 줄간격을 자유롭게 조정하여 편집할 수 있다.

8. 논문 2쪽에는 서론, 본문, 참고문헌 순으로 작성한다.

(1) 본문은 2단(단 간격 5.009mm)으로 하며, 줄 간격 160%, 들여쓰기 10으로 하고 글꼴은 함초롬바탕, 10포인터로 작성하고, 장, 절은 맑은고딕으로 작성한다. 장평 100%, 양쪽혼합정렬로 한다. 단 영문 논문일 경우 모두 “Time new roman” 폰트로 작성한다.

(2) 장과 절, 절과 본문, 그림과 본문, 표와 본문 사이는 한 줄의 공간을 비워야 한다.

(3) 편집위원회가 심사 및 게재예정인 논문의 높은 가독성을 보장하기 위해 논문에 포함된 그림과 표에 한하여 1단 편집할 수 있다.

9. 참고문헌 표기는 IEEE 스타일로 작성하며, 참고문헌은 반드시 영문으로 표기한다. 표기방법은 논문 내용에 직접 관련 있는 문헌에 대해서는 각주를 사용하지 않고, 본문내용 중 관련 있는 부분에 참고문헌 번호를 표기함으로써 인용하고 그 문헌을 참고문헌에 인용 순서대로 기술한다. 참고문헌 작성 양식은 학술지는 저자, 제목, 학술지명, 권, 호, 쪽수, 발행 연도 순으로, 단행본은 저자, 도서명, 발행처, 쪽수, 발행 연도 순으로 기술한다.

참고문헌 종류별 표기방법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Journal Article
Y. Lu, L. Zhang and W. Xie, "YOLO-compact: An Efficient YOLO Network for Single Category Real-time Object Detection," 2020 Chinese Control And Decision Conference (CCDC), Hefei, China, 2020, pp. 1931-1936, doi: 10.1109/CCDC49329.2020.9164580.

(2) Book
H. K. Hartline, A. B. Smith, and F. Ratlliff, "Inhibitory interaction in the retina", In Handbook of Sensory Physiology, Springer-Verlag, pp. 381-390, 1972.

(3) Conference Proceedings
Y. Yamamoto, S. Machida, and K. Igeta, "Micro-cavity semiconductors with enhanced spontaneous emission", Proc. 16th European Conf. on Opt. Commun., Amsterdam, The Netherlands, pp. 3-13, Sept. 1990.

(4) Web URL
INRIA Person Dataset: http://pascal.inrialpes.fr/data/human/. [accessed: Nov. 04, 2015]

10. 그림 제목은 그림 하단에 가운데 정렬하도록, 표 제목은 표 상단에 왼쪽 정렬하도록 캡션 기능을 사용해 표기하되, 모두 영문으로 작성하며, 맑은고딕, 크기 9포인트, 줄 간격 130%로 설정하여 표기한다.

11. 참고문헌 뒤에 모든 저자 약력을 연도, 현재 소속 단체와 직위를 포함하여 7줄 이내로 표기한 후 고해상도 스캔된 저자 사진을 25mm X 30mm의 크기로 삽입한다.

12. 채택된 논문 중 특별한 사정으로 긴급 게재가 필요한 경우에는 논문지 편집위원회의 승인을 얻어 게재할 수 있다. 단, 저자는 긴급 게재에 따른 경비를 편집위원회에서 정한 규정에 의해 추가로 부담해야 한다.

13. 투고자는 논문 1편당 심사료 60,000원을 논문제출시 납부하여야 하며, 채택된 논문에 대한 별도 게재료는 2024년까지 무료로 게재한다. 단, 지원기관의 사사가 표기된 경우 15만원을 납부한다.

14. 논문 게재 및 저작권은 다음과 같다. 최종 심사를 완료한 논문은 본 협회 논문지에 반드시 게재해야 하며, 논문지에 게재된 논문에 대한 저작권은 저자가 논문투고 시 제출한 지적소유권위임서에 따라 본 협회에 있으며 게재된 논문은 본 협회의 승인 없이 무단 복제할 수 없다.

15. 본 논문지에 투고되는 논문은 반드시 연구윤리동의서 및 지적소유권위임서, 저자 점검표를 제출하되, 본 협회 연구출판윤리규정을 준수하여야 하며, 기술되지 않은 사항에 대하여서는 출판 윤리 규정의 국제 표준(https://publicationethics.org/node/11184)을 따른다.

16. 연구 부정행위 논문이 발생한 경우 논문 편집 위원회에서 먼저 검토하고, 연구윤리위원회에서 COPE의 흐름도(http://publicationethics.org/resources/flowcharts)에 기반하여 사후처리한다.

17. 논문에 저자로서 표기된 자는 다음의 저자됨 기준에 대한 모든 항목을 반드시 만족해야 하며, 이들 중 하나라도 만족하지 못한 경우 기여자로 표기되어야 한다. 또한, 저자는 어떠한 공동저자가 연구의 어떠한 부분에 대해 책임이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하고, 공동저자의 연구기여 진실성에 대해 확신을 가져야 한다.

(1) 연구의 구상이나 설계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거나 연구를 위한 데이터 획득 혹은 분석, 해석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였다.

(2) 연구논문의 초안을 작성하거나 중요한 학술적 내용에 대한 비평적 수정을 하였다.

(3) 논문 게재본에 대한 최종 승인을 하였다.

(4) 연구의 모든 부분에 대한 정확성 혹은 진실성과 관련된 질의를 타당하게 조사하고 해결하는 것을 보장함에 있어 연구의 모든 부분에 대해 책임진다는 것에 동의하였다.

18. 논문의 표절 방지를 위해 투고 전에 KCI 홈페이지(www.kci.go.kr)의 표절 검사시스템을 통해 해당논문에 대한 유사도 검사를 미리 수행하고 그해야 한다.

19. 편집위원장은 본 협회 논문 심사위원풀에서 논문 1편당 3인의 심사위원을 선정하여 심사를 요청한다. 이때 편집위원장은 해당 논문의 제출분야와 관련된 편집위원에게 해당분야의 전문분야 심사위원을 의뢰한다.

20. 본 논문지의 출판규정은 논문지 형식에 맞추어 PDF파일로 출판한다.

21. 원고는 본 협회 메일로 투고하며, 투고에 대한 문의는 본 협회 논문지 담당직원(paper@kmaia.or.kr)에게 문의한다.

부칙

1. 본 규정은 2024년 1월 1일부터 효력을 발생한다.